-
[AWS] EC2 실습 (인스턴스 생성/Apache/간단한페이지생성)AWS 2024. 2. 10. 21:00
EC2는 EC2 대시보드에 들어가면 오른쪽 상단에서 지역설정을 해줘야한다.
만약 EC2인스턴스를 서울에서 만들었다면 다른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주황색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준다.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 이름을 네이밍해준다. (편한대로)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본 실습에서는 Amazon Linux를 사용해보겠다.
디폴트로 선택된 x86으로 진행.
인스턴스 유형
크기가 커질수록 강력한 메모리를 사용할 수있지만 유로.
따라서 프리티어 옵션으로 선택하였다.
키페어(로그인)
위 키 페어로 EC2 인스턴스에 접근 가능하게 한다.
"새 키 페어 생성"을 눌러준다.
윈도우를 사용한다면 query를 사용하여 접속해야하기때문에 .ppk를 선택해야한다(자세한 내용은 구글링)
본 실습은 맥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RSA / .pem으로 진행하였다.
⮕ 키페어를 생성하면 파일이 다운된다.
네트워크 설정
EC2 인스턴스가 어떠한 traffic을 받을지, 안받을지를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EC2는 default로 vpc를 제공하며 vpc는 가상의 클라우드 공간을 의미한다.
하나의 vpc안에서 인스턴스들은 공유되는 컴퓨팅 파워를 사용한다.
서브넷
default로 사용
퍼블릭 IP 자동 할당
활성화
네트워크 섹션의 오른쪽 상단에 편집 버튼을 누르게 된다면, 인바운드 보안 그룹 규칙이 보인다.
그리고 보안그룹 추가 버튼을 눌러준다.
유형에서 HTTP를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프로토콜 : TCP, 포트 : 80으로 설정이된다. ⮕ 포트 80을 열어주었다.
스토리지 구성
고급 세부 정보
스팟 인스턴스 요청
스팟에 대해 ⭣
https://eocoring.tistory.com/18
[AWS] EC2란
EC2 (Elastic Compute Cloud) : 변덕스러운 예측할 수 없는 데이터 처리 및 산술적으로 계산이 불가능한 크기의 대량의 데이터를 미리 디스크 크기의 사용량에 대해 예측이 아닌 클라우드라는 공간에서
eocoring.tistory.com
Fianally 인스턴스 시작
인스턴스 상태가 실행중으로 뜬다.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해당 인스턴스를 체크박스로 선택하고 위에 연결버튼을 눌러주면, 다양한 방법으로 인스턴스를 연결할수 있는 화면이 보이게된다.
인스턴스 연결
맥북유저 기준 terminal을 열어준다.
위에서 다운받은 키페어가 있는 폴더로 가준다.
연결방법 화면에서 SSH 부분에 chmod를 이용해서 권한을 변경해준다.
위 연결방법중 SSH 복사해서 넣어준다.
그러면 최초 연결시 진짜 연결할거니? ⭢ YES
그러면 이렇게 인스턴스에 잘 접속이된다.
다음 root 유저가 되기 위해 sudo su 라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유저가 root로 바뀐것을 확인할 수 있다.
yum update -y
위 명령어는 OS를 업데이트 시키며 관련있는 모든 패키지를 설치해주는 것이다.
Apache 설치
yum install httpd -y
Apache 실행
service httpd start
chkconfig httpd on
인스턴스를 재부팅시킨다면 Apache 서버도 자동으로 켜지게 하는 명령어
홈페이지 작업
vi index.html
새로운 html 파일 생성하기
✪ 중요한점 : 파일명은 index.html으로 해주기
이렇게 만들고 저장하고 나가기.
다시 EC2 콘솔로 간다.
퍼블릭 IPv4 주소를 복사한다.
새탭을 열얼서 복사 붙혀넣으면 아까 만든 html 페이지가 보이게 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RDS - Database Backups (0) 2024.02.11 [AWS] RDS (종류와 OLTP&OLAP 간단차이) (1) 2024.02.11 [AWS] EC2 - Route53 (+실습) (0) 2024.02.10 [AWS] ELB (정의와 종류 + "X - Forwarded - For") (1) 2024.02.10 [AWS] EC2 - EBS (0) 2024.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