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배포]-1 인스턴스 생성 & git cloneAWS 2024. 2. 3. 23:15
1. AWS 사이트 접속 후 회원가입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console/home?region=ap-northeast-2
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console/home?region=ap-northeast-2
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
2. 지역 > 아시아 태평양(서울)으로 변경
3. EC2 > 인스턴스 시작
4. 서버 선택
- 이름 : 생략 가능하나 EC2 를 쉽게 식별하기위해 지정 해준다.
- Ubuntu의 프리티어를 사용 한다.
- 프리티어 라고 표시 된 것들을 선택한다.
- 본 프로젝트는 맥북으로 생성된 프로젝트라 아키텍처는 64비트(Arm)로 선택
5. 인스턴스 유형 선택
'프리티어 사용 가능'이라고 쓰여 있는 인스턴스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HTTP, HTTPS 허용
네트워크 설정에서 HTTP와 HTTPS 트래픽을 허용합니다.
IP가 0.0.0.0 이면 모든 IP에서 접근 가능합니다. SSH(개발 환경 터미널)는 집의 IP로 변경하여 해커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7. 키 페어 생성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 키 페어를 생성합니다.
인스턴스 키 페어는 .pem 형태로, 이 파일이 있어야 EC2 인스턴스에 접근이 가능합니다.
생성하려는 키 페어의 이름을 입력하고 다운로드합니다. 키 페어가 다운로드되었으면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인스턴스를 시작합니다.
8. 인스턴스 시작
인스턴스 상태가 실행 중인지 확인합니다.
EC2 인스턴스에 프로젝트 연결하기
1. EC2 서버에 접속
연결하려는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SSH 클라이언트 [SSH 클라이언트] 탭을 클릭한 후 하단의 ssh로 시작하는 텍스트를 복사합니다.
개발 환경 플랫폼(글쓴이의 경우 VScode)으로 돌아가서 터미널에 접속합니다.
키 페어 파일이 들어있는 경로(루트 경로)에서 위에서 복사한 텍스트를 붙여넣기 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그러면 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fingerprint])? 문장이 나오는데 이 때 yes를 입력합니다.
Enter 키를 누르면 원격의 EC2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됩니다.
2. EC2 서버에 해당 프로젝트의 깃허브 주소 연결EC2 서버에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터미널의 경로가 로컬이 아닌 ubuntu@ 경로가 됩니다. (선택한 서버에 따라 다릅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사용자명>/<레포지토리명>
해당 인스턴스에 연결하려는 프로젝트의 깃허브 레포지토리 주소를 ubuntu@ 경로에 클론합니다.
3. EC2 서버에 의존성 패키치 설치하기
+ 깃허브 레포지토리에 변경사항이 있으면 git pull 명령어를 수행합니다. (EC2 서버에서는 깃허브의 변경사항을 알지 못하기 때문)
root@ 경로에서는 git pull ubuntu@ 경로에서는 sudo git pull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란 (1) 2024.02.10 [AWS] IAM 실습 (사용자/역할/정책+정책시뮬레이터) (1) 2024.02.09 [AWS] IAM (0) 2024.02.09 [AWS] AWS란? (1) 2024.02.09 [AWS 배포]-2 Java 설치 / Java 환경 변수 설정 (0) 2024.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