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XML] 데이터포맷 XML (구성/HTML,JSON과 차이/활용)Backend 2024. 2. 11. 13:58
XML이란? :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마크업 형태를 쓰는 데이터 교환 형식 마크업형태 마크업(Markup)은 태그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구조를 나타내는 방법 (속성 부여도 가능) XML의 구성 1. 프롤로그 : 비전, 인코딩 2. 루트요소 (단하나만) : 최상위 태그 3. 하위 요소들 HTML과 XML의 차이 1. HTML의 용도는 데이터를 표시 / XML은 데이터를 저장 및 전송 2. HTML에는 미리 정의된 태그가 있지만, XML에서는 고유한 태그를 만들고 정의 가능 (커스텀가능) 3. XML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만 HTML은 구분하지 않는다 eg. 대신 으로 태그를 작성하면 XML 구문 분석기에서 오류가 발생한다. ✴ Error : There are erro..
-
[AWS] EC2 실습 (인스턴스 생성/Apache/간단한페이지생성)AWS 2024. 2. 10. 21:00
EC2는 EC2 대시보드에 들어가면 오른쪽 상단에서 지역설정을 해줘야한다. 만약 EC2인스턴스를 서울에서 만들었다면 다른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주황색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준다. (인스턴스 생성) 인스턴스 이름을 네이밍해준다. (편한대로)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본 실습에서는 Amazon Linux를 사용해보겠다. 디폴트로 선택된 x86으로 진행. 인스턴스 유형 크기가 커질수록 강력한 메모리를 사용할 수있지만 유로. 따라서 프리티어 옵션으로 선택하였다. 키페어(로그인) 위 키 페어로 EC2 인스턴스에 접근 가능하게 한다. "새 키 페어 생성"을 눌러준다. 윈도우를 사용한다면 query를 사용하여 접속해야하기때문에 .ppk를 선택해야한다(자세한 내용은 구글링) 본 실습은 맥으로 진행되고 ..
-
[AWS] EC2 - Route53 (+실습)AWS 2024. 2. 10. 20:27
Route53 : AWS에서 제공하는 DNS 서비스 EC2 instance S3 Bucket Load Balancer 우리가 일상에서 종종 사용하는 서버 이름을 부여해주는 것 즉, 도메인 주소를 구매하여 위 3가지 백엔드로 연결시켜주는 것 실습 이것은 Route53의 대시보드 첫화면 우선, 도메인을 등록해보자. 도메인 주소당 가격이 다르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메인 이름을 설정을 하면 이렇게 사용할수 있는지 없는지 가용성을 확인해 볼 수있다. 원하는 도메인 이름이 있다면 장바구니에 추가 버튼을 누르면된다. 장바구니에 넣었으면 오른쪽 하단에 계속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이렇게 등록할 수 있게 세부정보를 입력란 적는 절차가 있다. 정보를 입력하였으면 계속 click 도메인을 자동 갱신하겠습니까?..
-
[AWS] ELB (정의와 종류 + "X - Forwarded - For")AWS 2024. 2. 10. 20:13
ELB (Elastic Load Balancers) 수많은 서버의 흐름을 균형있게 흘려보내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함 하나의 서버로 traffic이 몰리는 병목현상(bottleneck) 방지 → 서버의 원활한 흐림 및 방지에 도움 Traffic의 흐름을 Unhealthy instance → healthy instance로 보내주는 것 EC2 인스턴스는 예상치 못한 이유로 건강치 않게 된다. 원인 중 하나는 인스턴스가 갑자기 셧다운이 생기거나 시간 초과같은 이유 ELB의 종류 1. Application Load Balancer : OSI Layer 7(응용계층)에서 작동됨 HTTP, HTTPS와 같은 traffic의 load balancing에 가장 적합함 고급 request 라우팅 설정을 통하여 특정 서버로..
-
[AWS] EC2 - EBSAWS 2024. 2. 10. 19:50
EBS(Elastic Block Storage)란? 저장공간이 생성되어지며 EC2 인스턴스에 부착된다. 디스크 볼륨 위에 File System이 생성된다. EBS는 특정 Availability Zone에 생성된다. Availability Zone (AZ) ? 하나의 Region안에 여러 AZ가 존재할 수 있다. 중심부로부터 그의 복사본들이 AZ로 뿌려지며 유사시 한 쪽 서버가 망가지거나 셧다운 됐을 경우 AZ라는 백업을 통해 서비스 제공을 가능케 해주는 일종의 Disaster Recovery. EC2와 같이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게될시 사용자는 AZ를 설정해줘야 한다. EBS 볼륨타입 SSD군 General Purpose SSD (GP2) : 최대 10K IOPS를 지원하며 1GB당 3IOPS 속도가 나옴..
-
[AWS] EC2란AWS 2024. 2. 10. 19:38
EC2 (Elastic Compute Cloud) : 변덕스러운 예측할 수 없는 데이터 처리 및 산술적으로 계산이 불가능한 크기의 대량의 데이터를 미리 디스크 크기의 사용량에 대해 예측이 아닌 클라우드라는 공간에서 크기가 우연하게 변경되는 기능을 제공 (장점) - EC2는 사용자가 인스턴스를 켜고 끌 수 있으며 사용자가 켰을 때만 돈을 지불 EC2 사용시 내는 다양한 지불 방법 On-damand : 시간 단위로 가격이 고정되어 있음 시간당 정해진 비용을 지불하며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 소프트웨어 및 서버 개발 초기 단계에서 종종 쓰임 Reserved : 한정된 EC2 용량 사용 가능, 1-3년동안 시간별로 할인 적용 받을 수 있음 (일정량을 대여해서 사용) eg. 비행기 좌석예매시 지정석 구매 on..
-
[AWS] IAM 실습 (사용자/역할/정책+정책시뮬레이터)AWS 2024. 2. 9. 23:49
1. 사용자 만들기 - 사용자 추가 버튼을 눌러준다. - 이름은 아무이름이나 명칭 - 엑세스 유형 선택 1. 액세스 키 - 프로그래밍 방식 액세스 처음 유저를 생성할때 접근키와 비밀키를 생성해줌 두 키를 사용해서 API 혹은 CLI를 활용해서 AWS의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음 2. 암호 - AWS 관리 콘솔 액세스 우리에게 비밀번호 제공 👉 경우에 따라서 둘다 선택 가능 혹은 양자택일 - 이번에는 프로그래밍 방식 액세스로 실습 - 권한 설정 부분 기존 그룹에 넣을지, 새로운 그룹에 넣을지 여부 - 본 실습은 user 생성 중심이므로 해당은 건너띄었습니다. - 태그 생성하는 user를 좀 더 간편하게 검색하기 위해 사용 (중요하지는 않음 : 건너띄기) ☞ 사용자 생성 버튼 click "aws_lea..
-
[AWS] IAMAWS 2024. 2. 9. 22:44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 유저를 관리하고 접근 레벨 밒 권한에 대한 관리 ✷ 접근키(Access Key), 비밀키(Secret Access Key) User A⸝ဗီူ⸜를 만들면 A⸝ဗီူ⸜에게 접근키와 비밀키를 제공(생성)해준다. (비밀번호 아님) A⸝ဗီူ⸜는 주키를 가지고 AWS의 다양한 service를 이용가능하다. ✷ 매우 세밀한 접근 권한 부여가능 (Granular Permission) ✷ 비밀번호를 수시로 변경 가능하게 해줌 (보안적 이유, 한달 or 분기별로 가능) ✷ Multi - Factor Authentication(다중 인증) 가능 Root 계정을 MFA를 반드시 사용하도록 Amazon에서 적극 권장 중. IAM의 주요키워드 Group 그룹..